23년 8월 27일 오후 12시
문자 한 통이 왔다.
올해 건강 건강검진을 받아야 하는 해는 맞는데
건강검사보험은 무슨 말인가? 눌러봐 말어?
이 글을 검색해 보는 분들 많은 분들이
비슷한 생각으로 검색을 하고 있을 것이다.
우선 이상한 점을 짚어 보겠다.
수상한 점
1. 명칭이 이상하다.
건강검사보험이란 명칭자체를 처음 들어본다.
2. 연결주소
보통 공공기관에서는 http가 아니라 https를 사용한다.
자 그럼 이상한 점은 여기까지 해두고
링크를 눌렀을 때는 어떻게 되는지 얘기해 보자.
이전 사례
해당링크를 누르면
국민건강보험공단과 비슷한 디자인의 웹페이지로 연결되고
상단에 스마트폰 번호를 입력하게 되어 있다.
번호를 입력하면 높은 확률로 전화가와 각종 정보를 요구할 것이다.
4월에도 이 같은 일이 있었고 기사도 있다.
[긴급] ‘국민보험공단 건강검사 통보문’ 피싱문자 주의...피해자 몰래 물품구매 등 2차
4월 16일 안드로이드 모바일 기기를 타깃으로 한 피싱앱이 발견됐다. 악성해커는 ‘국민보험공단 건강검사 통보문’이라는 피싱 메시지와 개인정보 탈취를 목적으로 한 URL 링크도 함께 발송한
www.dailysecu.com
그럼 이런 문자를 받았을 때 대처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
대처방법
해당문자를 받고 바로 삭제하도록 하자.
체크사항
1.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보내는 건강검진 문자메시지에는 인터넷 주소를 포함하지 않는다.
2. 의심되는 인터넷주소는 정상 인터넷 주소와의 일치여부를 확인하거나
국민건강보험공단 고객센터로 문의하자(1577-1000)
3. 발송처가 공단임을 알리는 대표 전화번호(1577-1000)나 대표 홈페이지 주소(https://www.nhis.or.kr)로 전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