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7.22(미국 현지 시간)
CNN 방송에 따르면
미국 네바다주서
두 살 아이가
뇌 먹는 아메바에
감염돼 사망했다고...
아이가
카운티의 천연 온천인 애쉬 스프링스에서
아메바에 노출됐을
가능성을 추정하였다고...
https://www.yna.co.kr/view/AKR20230723004000091?input=1195m
美 네바다주서 두 살 아이 '뇌 먹는 아메바' 감염 사망 | 연합뉴스
(샌프란시스코=연합뉴스) 김태종 특파원 = 미국 네바다주에서 또 '뇌 먹는 아메바'에 감염돼 사망하는 사례가 발생했다.
www.yna.co.kr
네글리아 파울러리
뇌를 파먹는 아메바로
파울러자유아메바
라고도 불리며
전 세계에 존재
25~45℃ 사이 수온의 강이나 호수에 서식
주 서식지
미국 남부 지역에서 주로 서식이 확인
기후위기로 최근 북부 지역까지 서식 범위를 넓혀가고 있음
증상
뇌 조직을 파괴하고
아메바성 뇌수막염(PAM)이라는
매우 심각한 희귀 뇌 감염을 일으킴
추가 정보
1) 뇌가 아닌 뇌에 사는 박테리아를 주로 먹음
아메바가 내뿜는 독성에 대응하다가 죽게 된다고 함
2) 감염 위험은 낮음
CDC에 의하면 2012~2021년
10년동안
수백만건의 물놀이에도
미국 내 31건의 감염이 보고 됨
3) 사람 간 추가 전파 불가
아직 사례가 없어
불가능하다고 알려짐
사례 및 통계
1962∼2020년 사이
네글레리아 파울러리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된 환자
151명 가운데 147명(97.3%)이
목숨을 잃은 것으로 알려짐
국내 사례
2022년 12월 50대 남성이 감염된 사례가 최초 확인
당시 남성은 4개월간
태국에서 체류 후 귀국한 뒤
뇌수막염 증상이 나타나 응급 이송
귀국 당일부터 증상이 시작
다음날 응급실로 이송
10일 후 사망
https://www.newspenguin.com/news/articleView.html?idxno=14184
'뇌먹는 아메바' 기후위기에 서식 범위 확대...한국은 안전할까
[뉴스펭귄 이후림 기자] 미국 북부 지역에서 '뇌먹는 아메바' 감염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미국 캔자스대학교 간호대학 연구진은 이른바 '뇌먹는 아메바'라고 알려진 기생충이 미국 북
www.newspengu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