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11월 23일 연평도 포격 이후 13주년이 지난 가운데 2024년 1월 5일 북한이 연평도 포격 도발을 하였다. 포격 규모와 피해, 군 대처에 대해 살펴보고 향후 대응에 대해 알아보자.
연평도 포격 규모와 일시
북한은 서해안서 포격을 하였다. 규모는 약 200여발이며 합참을 통해 상황이 전해졌다. 오전 9시 ~ 11시까지 약 2시간 넘는 시간 동안 약 200여 발의 포격을 쏜 것으로 확인된다고 한다. 포격 위치는 백령도 북방 지역과 연평도 북방 지역에 이뤄졌다.
북한의 포격 이유
우리 남측이 별다른 행동을 하진 않았고, 일전에 9.19 군사합의 파기 주장이어지는 행위로 보고 북에서 연초"남 영토 평정하기 위한 대사변 준비"를 지시하고 도발을 예고하고 있던 상황이라 예고된 도발로 보인다. 북한의 공식 표명은 아직 없다.
연평도포격 우리 군 대응
인천 연평도에는 주민 대피령이 내려졌다. 낮 12시 이후 2번의 대피령이 내려졌다. 총선 시가 전후 북의 도발에 대비 태세를 강화한 상황이라고 한다. 현재 포격 도발에 대해 아직 확정되지 않았지만 대응사격과 언론 공식입장등을 표명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2010년 과거 연평도 포격
과거 연평도 보격 도발 이유는 아직도 명확하게 공식적으로 밝혀진 내용은 없다. 다만 민간거주지역에 연평도 전체 38곳에 골고루 피격을 하였었다. 820가구중 420가구 전력 공급이 끊기고 주택 22채 불타였으며 일부 발전시설 파괴와 산지역 70% 소실되었었다. 국군은 해병대원 2명 전사, 6명 중상, 10명 경상을 민간인 피해는 2명 사망과 3명이 경상을 입었다. 연평도 전체 타격을 입었던 터라 주민 전체가 부상을 입었다고 봐도 무방하다고 얘기가 나올 정도였다. 북한의 포격에 우리군은 북한 진지를 향하여 80여발의 대응사격을 하였었다.
2024년 연평도 포격 피해 규모
인명피해나 군부대 타격은 없었다. 다행이라고 생각하며 잘 대처내용 보도 되는 내용 확인된다면 업데이트 예정이다. 현재 유튜브를 통해 합참 긴급 브리핑과 뉴스보도가 이어지고 있으며 상응하는 대응을 할 것이라고 브리핑 하였다.